[뉴스특보] 또 집단감염에 비상…다시 세자릿수 증가폭<br /><br /><br />최근 들어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세를 보면 100명 안팎을 오르내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늘 발표된 수치를 보면 하루 만에 다시 100명대로 늘었는데요.<br /><br />산발적인 집단감염이 잇따르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해외 역유입 사례도 속출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전문가와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신현영 명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모셨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어제 국내 신규 확진자 수가 하루 만에 다시 세 자릿수로 늘어났습니다. 두 자릿수 증가 폭을 보이던 신규 확진자가 다시 100명을 넘어섰는데요. 혹시 다시 확산세를 보이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적지 않습니다. 현 추세 어떻게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특히 대구에선 노인요양시설에 대해 전수 조사를 벌인 결과 지금까지 10곳이 넘는 곳에서 환자와 간호사, 간호조무사 등 190여 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합니다. 고령에다가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 환자들이 생활하고 있어 더욱 우려가 되는데요. 얼마나 환자가 더 늘어날까요?<br /><br /> 서구 한사랑요양병원과 달성군 대실요양병원 2곳에서 대부분 확진자가 나온 것으로 조사됐는데요. 경북 경산의 서요양병원에서도 밤새 코로나19 추가 확진자 수십 명이 쏟아졌습니다. 요양병원의 주요 감염경로 어떻게 파악이 되고 있나요?<br /><br /> 요양병원을 중심으로 산발적 집단 감염이 계속되자 정부와 지자체가 나서 고강도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. 시설이나 병원의 관리 소홀로 감염병이 확산하면 법적 책임을 묻고 손해배상 청구까지 검토하겠다는 건데요. 이미 너무 늦은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옵니다. 어떻게 보세요?<br /><br /> 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확산하면서 내일(22일)부터 유럽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입국자에 대한 검역 절차가 강화됩니다. 음성인 경우도 14일간 자가격리 또는 능동감시를 통해 사후관리를 진행하기로 했는데, 무증상 감염자를 걸러내는데 효과가 있을리라 보세요?<br /><br /> 유럽과 중동, 미국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급속도로 퍼지면서, 우리나라에 입국한 사람 중에서도 확진 환자가 속출하고 있습니다. 앞으로 우리나라 유입률이 늘어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데,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좋을까요, 현재 정부 정책 외에 더 보완할 점이 있다면 짚어주시죠.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일본은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초중고에 내렸던 휴교령을 더 이상 연장하지 않겠다고 발효했습니다. 공교롭게도 발표 당일 확진자 수가 1,000명을 넘어섰는데요. 우리는 벌써 3번째나 연기 결정을 했는데, 의학적 관점에서 일본의 대응은 어떻게 평가하십니까?<br /><br /> 최근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각 대학이 온라인 강의를 진행하고 있는데요. 하지만 학교 인근의 카페에는 삼삼오오 모여 온라인 강의를 듣는 학생들로 빈틈이 없습니다. 이렇게 되면 휴강의 의미가 없어지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는데요.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WHO도 "젊은이들, 코로나19에 천하무적 아니다"라며 "아프지 않더라도 당신이 어디를 가느냐에 대한 선택은 다른 사람의 삶과 죽음을 가를 수도 있다"고 경고했습니다. 가족과 사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건데요. 젊은 층을 대상으로 세밀한 방역 대책이 필요해 보이는데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